내 삶에
힘이 되는 강북!

NOTICE

2025 강북구 주민참여예산 제안사업 공모/ 서울시 시민참여예산 위원회 위원 공모

2025 강북구 주민참여예산 제안사업 공모/ 서울시 시민참여예산 위원회 위원 공모

1. 구민 여러분의 의견이 반영된 보다 실절직이고 합리적인 행정을 펼치고자 <2025 강북구 주민참여예산 제안사업공모>를 진행합니다. 2026년 예산편성을 희망하는 강북구 내 주민생활 사업 관련 아이디어나 의견이 있으시다면 적극 참여 부탁드립니다. 접수기간: 2025. 3. 17.(월) ~ 4. 30.(수) 신청자격: 강북구 주민 및 강북구 내 직장인·학생 누구나 대상사업: 2026년도 예산편성을 희망하는 강북구 내 주민생활 사업 - 안전, 교육, 문화, 경제 등 주민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모든 분야 제안 가능 ​ 예산규모: 7억원 ※건당 사업비 2억원 이내, 프로그램(행사성) 사업 3천만원 이내 제출방법: 제안사업신청서 작성하여 강북구청 홈페이지 및 우편, 방문접수 ※ 홈페이지 경로 https://www.gangbuk.go.kr:18000/portal/main/contents.do?menuNo=200398 ※ 우편/방문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89길 13 (수유동) 강북구청 기획예산과(4층) 2. 관련해 참여예산제도에 관심있는 강북구민 분들을 위해 주민참여예산학교 교육(3.17) 을 마련하였습니다. 3. 서울시에서도 오는 21일까지 <2025년 서울특별시 시민참여예산위원회> 위원을 공개 모집하고 있습니다. 강북구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2025-03-06

(모집연장안내) 강북구 '2025 혁신성장 청년 예비 소상공인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모집연장안내) 강북구 '2025 혁신성장 청년 예비 소상공인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2025 혁신성장 청년 예비 소상공인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2025년 혁신성장 청년 예비 소상공인 지원 사업에 참여할 청년 예비 창업가를 모집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모집기간: 25.2.12.~25.3.11.(화) ○ 모집대상: 19세~39세 청년으로 2025년 내 강북구에 오프라인 창업이 가능한 자 중 아래 ① 또는 ②에 해당되는 자 ① 예비창업자 ② 현재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지 않는 3년 이내 창업자 ※ 우대사항: 강북구 전통·재래시장 창업 예정자 ○ 모집인원: 25팀 ○ 창업분야: 생활밀접업종 중 [F&B] 또는 [라이프스타일] 분야 ○ 지원내용: - 창업 아카데미 : 기초 창업 교육 및 분야별 심화 교육&실습 - 창업 컨설팅 : 전문가 심화 컨설팅 운영 - 우수 기업 탐방 : 우수 점포 탐방을 통해 창업 노하우 전수 및 점포 견학 - 아이템 품평회 : 제품·서비스 상업화 피드백 - 사업화 자금 : 우수팀 선정 후 최대 2,000만원 지급 (자부담금 부담 필수) - 사후 컨설팅 : 점포 창업 후 현장 방문을 통해 전문가 컨설팅 진행 ○ 지원방법: 제출 서류 작성 후 이메일 신청 (gb.maru22@gmail.com) ※ 강북청년창업마루 사이트 -> 강북창업지원센터 -> 프로그램 소개 및 신청 페이지에서 지원신청서 등 서식 다운로드 가능 ○ 문의처: 강북창업지원센터 02-908-8247

2025-03-05

강북구 개청 30주년 기념 축하공연 개최 안내

강북구 개청 30주년 기념 축하공연 개최 안내

1995년 3월 1일 출범한 강북구가 2025년 3월 1일 개청 30주년을 맞아, 3월 1일~8일까지 강북문화주간을 운영한다고 안내드렸는데요!   강북문화주간의 일환으로 구민들과 함께 강북 30주년 성장을 축하하고 문화로 즐기는 소통과 화합의 시간을 갖고자 3월 4일, 5일 이틀동안 개청 30주년 기념 축하공연 ‘1995, 그땐 그랬지’를 개최합니다.   그 첫날인 3월 4일은 미안 미안해, 옥경이 등 수많은 히트곡을 가진 트로트계의 전설 '태진아'와 이영자 매니저로 활약하다 트로트가수로 데뷔한 노래하는 매니저 송실장 ‘송성호’ 그리고 지역문화예술인들이 함께하는 풍성한 90분을 선사할 예정이며, ​ 그 두번째 3월 5일은 내일은 미스터트롯에서 탄탄한 실력을 선보였던 트로트계 꽃미남 '김수찬'과 선녀와 나무꾼, 달빛 창가에서 등 80~90년대를 풍미한 2인조 ‘도시아이들’ 그리고 지역문화예술인들이 함께하는 풍성한 90분을 선사할 예정입니다.   공연 일시와 신청방법, 티켓배부 등 안내드리며 강북구의 개청 30주년을 함께 기념하는 구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공연일시: 2025년 3월 4, 5일(화, 수) 19:00~20:30 / 무료 관람 ○ 장소: 성신여자대학교 운정그린캠퍼스 대강당 ○ 대상: 강북구민 일 730명(총 1460명) 신청 접수 후 무작위 추첨을 통해 선정 ○ 신청기간: 2025. 2. 10.(월) 00:00 ~ 2. 23.(일) 23:59 ○ 신청방법: 강북구청 홈페이지 통합예약 하단 ‘신청하기’ 버튼 클릭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필요) - 본인 포함 최대 2명까지 신청 가능 ○ 신청결과: 무작위 추첨 선정 후 2. 24.(월) 18:00 개별 문자 통보 ○ 티켓배부: 공연 당일 선정자 확인 후 현장에서 배부(신분증 지참) ※ 티켓은 당일 선착순 배부   [안내사항] ※ 모집인원 미충족시 당일 현장선착순 접수 예정입니다. ※ 예약 후 참석이 어려울 경우 홈페이지에서 취소 또는 유선 연락을 꼭 부탁드립니다. ※ 행사 시간은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행사 참석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주시기 바랍니다. ※ 문 의: 강북구청 문화관광과 (02-901-6206)

2025-02-12

2024~2025년 한파쉼터 운영

2024~2025년 한파쉼터 운영

운영기간 2024. 11. 15. ~ 2025. 3. 15. 운영시간 평일 09:00~18:00 ※ 강북구청 24시간 운영 시설현황 강북구청, 주민센터, 복지관, 경로당 등 85개소 이용대상 주민 누구나 이용 가능 유의사항 운영시간 내 시설 방문하여 추위를 피할 수 있으며 식·음료 및 숙박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주요 한파쉼터 현황   관공서 2개소 쉼터명칭 주소 전화번호 강북구청 강북구 도봉로89길 13 02-901-6664 (야간·휴일)02-901-6112 100세 건강플러스 강북구 오현로 208, 309동 1층 02-901-6728 주민센터 13개소 쉼터명칭 주소 전화번호 삼양동주민센터 강북구 솔매로 69 02-3778-4039 미아동주민센터 강북구 솔매로49길 14 02-3778-4074 송중동주민센터 강북구 오패산로 162 02-3778-4137 송천동주민센터 강북구 솔샘로 284 02-3778-4184 삼각산동주민센터 강북구 삼양로19길 34 02-3778-4238 번1동주민센터 강북구 덕릉로41길 74 02-3778-4275 번2동주민센터 강북구 한천로 897 02-3778-4324 번3동주민센터 강북구 한천로105길 21 02-3778-4376 수유1동주민센터 강북구 삼양로 299 02-3778-4474 수유2동주민센터 강북구 한천로 1117 02-3778-4735 수유3동주민센터 강북구 노해로 36 02-3778-4774 우이동주민센터 강북구 삼양로139길 49 02-3778-4902 인수동주민센터 강북구 인수봉로 255 02-3778-4973 복지관 6개소 쉼터명칭 주소 전화번호 구세군강북종합사회복지관 강북구 인수봉로20가길 24 02-984-5811 강북장애인종합사회복지관 강북구 오현로 189 070-7703-7082 번오마을종합사회복지관 강북구 한천로115길 20 070-4293-7487 북서울종합사회복지관 강북구 한천로105길 24, 202동 B1 02-987-5077 꿈의숲종합사회복지관 강북구 오현로 208, 302동 1층 02-984-6777 시립강북노인종합복지관 강북구 삼양로92길 40 02-999-9179

2024-11-12

한파 시민행동요령

한파 시민행동요령

한파 발생 시 TV, 라디오, 인터넷 등에서 한파가 예보된 때에는 최대한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주변의 독거노인 등 건강이 염려되는 분들의 안부를 살펴봅니다. 1. 일반 가정에서는 가족들과 함께 - 야외활동은 되도록 자제하고, 부득이 외출 시에는 내복, 목도리, 모자, 장갑 등으로 노출부분의 보온에 유의해야 합니다. - 외출 후에는 손발을 씻고 과도한 음주나 무리한 일은 피하도록 합니다. 또한, 당뇨환자, 만성폐질환자 등은 미리 독감 예방접종을 하여야 합니다. - 심한 한기, 기억상실, 방향감각 상실, 불분명한 발음, 심한 피로 등을 느낄 때는 저체온 증세를 의심하고 바로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 동상에 걸렸을 때는 비비거나 갑자기 불에 쬐어서는 안되며, 따뜻한 물로 세척 후에 보온을 유지한 채로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 외출 시에는 되도록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가족에게 행선지와 시간계획을 알려둡니다. - 거동이 불편한 노인, 신체허약자, 환자 등을 남겨두고 장시간 외출할 경우에는 친인척, 이웃 등에 보호를 부탁합니다. - 특히, 연세 많은 어르신, 장애인이 홀로 거주하는 경우 수시로 전화 등을 통해 안부를 확인합니다. - 빙판길 낙상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보폭을 줄이고 굽이 낮고 미끄럼이 방지된 신발을 신는 등 주의해야 합니다.   《 빙판길 낙상사고 줄이는 요령 》       ① 보폭을 평소보다 10~20% 줄입니다. ② 굽이 낮고 미끄럼 방지 밑창 신발을 신습니다. ③ 옷 주머니에 손을 넣거나, 스마트폰을 보면서 걷지 않습니다. ④ 가능한 한 손에 물건을 들고 다니지 않습니다. ⑤ 응달진 곳을 피하고, 급격한 회전을 하지 않습니다. ⑥ 움직임을 둔하게 하는 무겁고 두꺼운 외투는 피합니다. ⑦ 넘어질 때는 무릎을 주저앉으면서 옆으로 굴러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⑧ 진정제, 수면제 등 어지럼 유발 약물 복용자는 외출을 삼갑니다. 한파 발생 시 TV, 라디오, 인터넷 등에서 한파가 예보된 때에는 최대한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주변의 독거노인 등 건강이 염려되는 분들의 안부를 살펴봅니다.   - 수도계량기, 수도관, 보일러 배관 등은 헌 옷 등 보온재로 채우고 외부는 테이프로 밀폐시켜 찬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 장기간 집을 비우게 될 때는 수도꼭지를 조금 열어 물이 흐르도록 하여 동파를 방지하고, 수도관이 얼었을 때는 미지근한 물이나 드라이기로 녹입니다. - 과도한 전열기 사용을 자제하고, 인화물질을 전열기 부근에 두지 않습니다. - 전기, 가스, 지역난방 등 시설이 고장 난 경우에는 관리기관이나 지자체에 신고하도록 합니다. ​ 2. 자동차 운전 중에는 가족이나 동승자가 함께 - 도로 결빙에 대비하여 스노체인, 염화칼슘, 삽 등 월동용품을 미리 구비하고, 부동액, 축전지, 윤활유 등 자동차 상태를 사전에 점검합니다. - 운전 전에는 앞 유리의 성에를 완전히 제거하고, 운전 중에는 평소보다 저속 운전하고 차간거리를 확보하여 사고를 미리 예방합니다. - 미끄러운 길이나 빙판 길, 커브 길 등에서는 되도록 가속과 감속을 하지 말고, 미리 속도를 줄이도록 합니다. - 차량 이동 중 고립되었을 때에는 가능한 수단을 통해 구조 연락을 취하고, 동승자와 함께 체온을 유지하면서 돌아가며 휴식을 취하도록 합니다. 한 사람은 반드시 깨어있어야 하며 야간에는 실내등을 켜거나 색깔 있는 옷을 눈 위에 펼쳐 놓아 구조요원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합니다.   3. 농·어촌에서는 가족이나 지역 주민과 함께 - 비닐하우스 등 동해 방지를 위해 난방, 온실커튼, 축열 주머니 등 미리 동해 방지 조치를 취합니다. - 축사 등은 미리 적설로 인한 붕괴 등에 대비하여 보수·보강하고, 샛바람 방지를 위한 보온덮개와 난방기 등을 준비합니다. - 양식장은 사육지 면적의 1% 이상을 별도 확보하여 월동장을 설치하고, 방풍망 등으로 보온조치 합니다. - 장기 한파 피해가 예상될 때에는 양식어류는 조기 출하하여 피해를 예방합니다.         한파 관련 정보 한파에 대한 특보 기준과 질병상식 등을 미리 알아두어 한파특보나 응급상황에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한파특보           종 류 주의보 경 보 한 파 10월~4월 사이의 기간에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0℃ 이상 하강하여 3℃ 이하이고 평년값보다 3℃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② 아침 최저기온이 –12℃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③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10월~4월 사이의 기간에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5℃ 이상 하강하여 3℃ 이하이고 평년값보다 3℃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② 아침 최저기온이 -15℃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③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한파질병 상식           종 류 증 상 대처요령 저 체 온 증 • 말이 어눌해지거나 기억장애 • 점점 의식이 흐려짐 • 지속적인 피로감을 느낌 • 팔, 다리의 심한 떨림 신속히 병원으로 가거나 바로 119로 신고합니다. 젖은 옷은 벗기고 담요나 침낭을 감싸줍니다. 겨드랑이, 배 위에 핫팻이나 더운 물통 등을 두며 사람을 껴안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따뜻한 음료가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의식이 없는 경우 주의합니다. 동 상 • 1도: 찌르는 듯한 통증, 붉어지고 가려움, 부종 • 2도: 피부가 검붉어지고 물집이 생김 • 3도: 피부와 피하조직 괴사, 감각소실 • 4도: 근육 및 뼈까지 괴사 ※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우선입니다. 1. 환자를 따뜻한 환경으로 옮깁니다. 2. 동상부위를 따듯한 물(38~42℃)에 담급니다. * 38~42℃ : 동상을 입지 않는 부위를 담갔을 때 불편하지 않을 정도의 온도 3. 얼굴, 귀 : 따뜻한 물수건을 대고 자주 갈아줍니다. 4. 손, 발 : 손‧발가락 사이에 소독된 마른 거즈를 끼웁니다. * 습기를 제거하고 서로 달라붙지 않게 함 5. 동상부위를 약간 높게 합니다. * 부종 및 통증을 줄여줌 6. 다리, 발 동상환자는 들 것으로 운반합니다. * 다리에 동상이 걸리면 녹고 난 후에도 걸어서는 안 됩니다. 손 상 • 낙상에 의한 손상 * 미끄러짐, 넘어짐, 떨어짐 등에 의한 탈구, 골절, 타박상 등 1. 홀로 거동이 어려울 경우 빠르게 119로 신고 합니다. 2. 환자가 편안해 하는 자세 그대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도움을 청합니다. * 필요시 부목 등을 이용하여 고정합니다.

2024-11-18

검색하기